목록CS 지식 (2)
나 이것도 몰랐네..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흔히 10진법(0 ~ 9 / 10가지 숫자)을 사용하지만 컴퓨터는 이진법(0,1 / 2가지 숫자)을 이용한다. 이는 대부분이 알고 있지만 왜 익숙한 10진법이 아닌 2진법을 적용하였나 궁금증이 생겨 찾아보았다. 컴퓨터의 진법기계로 구현하기에 용이하며, 사용자의 일 처리를 빠르게 하고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이진법이 사용된다. 컴퓨터는 전기 신호를 통해 트랜지스터라는 스위치를 ON/OFF 시키는 행위를 반복하는데, 이때 들어온 신호를 0과 1, 이진법을 사용하여 처리한다.만약 3진법 이상의 진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기적 신호를 3가지 이상의 경우로 구분지어야 한다. 그렇게 되면 처리 소요 시간 및 비용, 오류 발생량이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컴퓨터는 자릿수가 많다는 단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prfdo/btsHBOXV9hx/uuSNCxyaGEt58pwg57TsZK/img.png)
내 데스크톱과 노트북은 버튼을 누르면 어떻게 실행되는가, 왜 전원을 꺼도 저장한 데이터는 사라지지 않는가, 내가 입력한 코드는 어떤 과정을 거쳐 실행되는가에 대한 궁금증이 생겨 여러 책과 사이트를 찾아 알게된 내용을 정리한다.컴퓨터의 구조1. 폰 노이만 컴퓨터 구조폰 노이만 구조는 제어장치와 산술연산장치를 포함한 중앙처리장치(CPU), 프로그램 영와과 데이터 영역으로 이루어진 메모리, 프로그램 3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CPU와 메모리가 분리되어 있고 둘을 연결하는 버스(Bus)를 통해 명령어 읽기, 데이터 읽고 쓰기가 가능하다. 이때 메모리 안에 프로그램과 데이터 영역의 물리적 구분이 없기에 CPU가 명령어와 데이터에 동시 접근할 수 없다.구조의 장점기존에 다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하드웨어 전선을..